•
10세 이전에 오면: 외국인 액센트가 없는 영어를 구사하고 미국인으로서의 아이덴티티를 갖게 되고 보통의 미국인으로서 경쟁하게 됩니다. 미국 현지에서의 경쟁력이 높고 한국인으로서의 장점(2개 언어 구사, 한국 내 인맥 구축)는 상대적으로 약해집니다.
•
20세 전후 대학 학부나 석사 과정 진학을 위해 유학 오는 경우: 성인이 되어 오므로 한국인으로서의 정체성이 있고 고교 또는 대학 동창 인맥도 있습니다. 하지만, 영어는 액센트가 있는 외국인 영어를 하게 됩니다. True bilingual이 되기는 어렵습니다.
•
10대 중반 중고교 시절 유학 오는 경우: 한국인으로서의 정체성이 형성되어가고 교우관계도 중요해지는 시기잖아요? 10대 중반에 오면 영어가 네이티브처럼 되기 어렵고 상반된 학교 시스템에도 적응하기 어려우며 교우관계도 힘듭니다. 정체성 혼란이 오기 쉽습니다.
(참고: 데모데이 영상
: 스타트업 미국진출 언제하면 좋을까?)
•
창업자 한두명밖에 없는 완전 초기, 20억 미만의 펀딩 자금 소진 단계 = 10세 이전 유학오는 것에 해당
: 플립하거나 애초에 미국 회사로 설립해서 미국 시장에서 승부를 볼 수 있는 시점입니다. 내 사업 아이디어가 미국에서 더 가능성이 있고 창업팀이 해외 사업을 할 능력(언어, 결혼과 자녀 등 개인 상황)이 있다고 생각하면 베팅해볼수 있습니다. ‘잃어버릴 게 없는 상황이니 망해도 미국이라는 큰 물에 가서 싸워보고 망하자’가 가능한 단계입니다.
•
한국에서 early traction을 만들었고 Pre-A 또는 Series A 펀딩으로 미국 진출에 10억 정도 투자 여력이 있는 회사 = 학부 또는 석박사 과정 유학에 해당
: 한국에서 foundation을 쌓은 상태이므로 미국 사업이 생각처럼 잘 안돼도 회사가 문닫을 걱정은 하지 않아도 됩니다. 미국에서의 성패가 죽고 사는 문제가 아니라 upside potential을 극대화하는 문제입니다. 잘 안되면 천억짜리 회사, 잘되면 일조원차리 회사를 만든다는 자세라고 할까요?
•
한국에서 제품 만들고 seed 펀딩 받아 10여명의 인원이지만 traction은 없는 상태에서 미국 진출하는 경우 = 10대 중반 유학에 해당
MORE CONTENTS IN THIS CATEGORY
미국 진출에 앞선 우선 순위 정하기
미국 진출 계획 시 가장 먼저 고려할 3가지
GTM(Go-To-Market) Strategy 수립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