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arch
💲

미국 VC의 구조

한국과 다른 미국 VC의 구조를 알자.
(참고: 데모데이 영상: ‘미국 VC와 한국 VC 구조의 차이’)
미국 VC
한국 VC
회사 성격
파트너쉽(LLC). 파트너 개개인이 지분(carry, 의사결정권)을 나눠갖는 형태.
주식회사(자본금 20억 이상). 주주 권리가 우선.
조직 구조
역피라미드형 : 의사결정권자인 파트너가 가장 많고 파트너들이 공통으로 활용하는 Associate, Analyst pool이 시장 조사 등 지원 역할을 함. 팀단위 조직이 아닌 파트너 개개인이 딜 발굴하는 형태.
피라미드형 : 대표이사 아래에 임원, 팀장, 심사역의 순으로 수직 배열되어 있음. 심사역이 발굴해 상향식으로 올라가는 deal도 있고 임원급이 발굴하는 경우도 있음. 미국 VC보다 조직으로서 움직임.
의사결정
- 매주 파트너 미팅에서 진행중인 딜을 의논함. Firm에 따라 투표하는 경우, 파트너들간 신뢰에 기반한 토론으로 결정하는 경우 등 케바케임. - 펀드 성과를 파트너들이 나눠가지므로(결성시 GP agreement에 명시함) interest align이 확실함. - 결정이 빠름.
- 각 팀에서 올린 딜을 투심위에서 올리고 투심위에서 결정. - 자본이득이 아닌 일반소득인 보너스 형태로 성과급을 가져가는 일반 회사 형태이므로 의사결정에서의 power dynamics가 미국 VC보다 복잡함. - 결정이 오래 걸림.
시사점
- 미국 VC의 경우 파트너가 적극 관여하지 않고 투자하는 경우는 없음. - Associate나 Analyst와 오래 얘기하는 것은 도움이 안됨. - 요즘 미국 VC 웹사이트에는 파트너와 주니어를 구분하지 않는 곳도 많음. 그들의 링크드인 프로필을 보고 확인할 것.
- 심사역이 투자하고 싶어 오랜 시간을 검토했더라도 임원 중심의 투심위에서 갑작스레 부결돼서 빠질 가능성이 있음.
MORE CONTENTS IN THIS CATEGORY 기초 지식 어떤 VC를 타겟할 것인가? 어떻게 미국 VC에게 접근할 것인가? VC에 관심을 받는 미팅을 하려면? VC 미팅 후 관심 여부 파악하는 법 실리콘밸리 VC 대상 핵심 피칭 전략 실리콘밸리 VC 대상 Pitch Deck 작성 방법